실제 월급은 얼마 받을까?
2025년, 드디어 최저시급 1만원 시대가 열렸습니다.하지만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돈은 얼마일까?`,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얼마일까?`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그리고 월급 실수령액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꼭 끝까지 읽고 확인하세요!
🔹 1.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
적용 기간 | 2025년 1월 1일 ~ 12월 31일 |
시급 | 10,030원 |
인상률 | 전년 대비 1.7% 인상 |
주 40시간 기준 월급(세전) | 2,096,270원 (209시간 기준) |
💡 209시간 = 1주 40시간 × 4.345주 (월 평균 주 수)
🔹 2.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경우,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즉, 최저시급으로 주 5일 8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 = 10,030원 × 8시간 = 80,240원
이 금액은 한 주마다 추가로 지급되므로,월급에 포함하면 실제 월 수입이 늘어납니다.
🔹 3. 주휴수당 포함한 월급은?
기본 시급 | 10,030원 |
주휴수당 포함 시급 | 약 12,036원 |
월급(세전) | 약 2,514,524원 |
📌 단, 주휴수당은 요건 충족 시 지급되므로,파트타이머 등 비정규직의 경우에는 조건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4.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최저시급으로 주 40시간 근무할 경우,4대보험과 세금 등을 제외하면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급(세전) | 2,096,270원 |
공제액 | 약 240,000원 |
실수령액 | 약 1,856,000원 |
👉 주휴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약 2,220,000원 수준입니다.※ 단, 공제액은 개인 조건(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연봉(세전) 월급(세전) 월 실수령액 (약) 연 실수령액 (약)
24,000,000원 | 2,000,000원 | 1,757,000원 | 21,084,000원 |
30,000,000원 | 2,500,000원 | 2,145,000원 | 25,740,000원 |
36,000,000원 | 3,000,000원 | 2,524,000원 | 30,288,000원 |
42,000,000원 | 3,500,000원 | 2,897,000원 | 34,764,000원 |
48,000,000원 | 4,000,000원 | 3,266,000원 | 39,192,000원 |
54,000,000원 | 4,500,000원 | 3,628,000원 | 43,536,000원 |
60,000,000원 | 5,000,000원 | 3,985,000원 | 47,820,000원 |
72,000,000원 | 6,000,000원 | 4,677,000원 | 56,124,000원 |
84,000,000원 | 7,000,000원 | 5,349,000원 | 64,188,000원 |
96,000,000원 | 8,000,000원 | 5,994,000원 | 71,928,000원 |
100,000,000원 | 8,333,000원 | 6,220,000원 | 74,640,000원 |
🔹 5. 정리하자면!
- ✅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 ✅ 주휴수당 포함 시급: 약 12,036원
- ✅ 월급(세전): 약 209만 원
- ✅ 실수령액(주휴 포함): 약 222만 원
연봉(세전) 월급(세전) 월 실수령액 (약) 연 실수령액 (약)
📌 마무리 팁!
✔️ 네이버 '급여계산기' 또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면본인의 월급이나 연봉에 따른 정확한 실수령액을 알 수 있습니다.
✔️ 꼭 주휴수당 지급 조건을 확인하고,누락된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1350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