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 총정리 — 새롭게 등재된 ‘울산 반구천 암각화’

by widelife20251 2025. 10. 5.
반응형

2025년 7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이 또 한 번 세계의 인정을 받았습니다.바로 울산 반구천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새롭게 등재되면서,한국은 총 17번째 세계유산 보유국이 되었어요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을 보유하게 되었고,이는 아시아에서도 손꼽히는 `문화유산 강국`으로의 위상을 보여주는 성과입니다.

 

🏆 새롭게 등재된 유산 — 울산 반구천 암각화 (2025)

등재 연도: 2025년 7월 12일등재 구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 근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결정위치: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일대

 

울산의 **반구천 암각화(盤龜川岩刻畫)**는세계적으로 드문 선사시대 암각 예술의 집약체로,약 6,000년 전부터 신석기~청동기 시대에 걸친 인류의 생활, 사냥, 제의 흔적을암벽에 새긴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유산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어요 👇

 

  1. 선사 인류의 삶과 예술적 표현의 연속성→ 약 6천 년에 걸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암각화로 표현
  2. 탁월한 예술성과 주제의 다양성→ 고래, 사슴, 인간, 배 등 현실과 상징이 결합된 그림 구성
  3. 보존 상태와 학술적 가치→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원형이 잘 남은 선사 예술 유산

유네스코는 반구천 암각화를

`인류 예술과 문명의 기원을 보여주는 귀중한 증거`라고 평가했습니다.

 

 

🌍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현황 (2025년 기준, 총 17건)

구분유산명등재 연도위치비고
문화유산 석굴암과 불국사 1995 경북 경주 한국 최초 세계유산
해인사 장경판전 1995 경남 합천 팔만대장경 보관 건축물
종묘 1995 서울 조선 왕실 제례 공간
창덕궁 1997 서울 자연과 조화된 궁궐
수원 화성 1997 경기 수원 정조의 개혁정신 상징
경주 역사유적지구 2000 경북 경주 신라 천년 수도의 흔적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2000 전국 3곳 선사 거석문화
조선왕릉 2009 서울·경기 조선 왕과 왕비의 무덤
하회·양동마을 2010 안동·경주 전통 유교마을
남한산성 2014 경기 광주 수도 방어 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전국 7곳 불교문화 중심 사찰
한국의 서원 2019 전국 9곳 유교 교육기관
가야고분군 2023 경남·전북 등 가야 문명 고분유적
문화유산 울산 반구천 암각화 🆕 2025 울산 울주군 선사시대 암각 예술
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 제주도 화산활동의 역사
한국의 갯벌(Getbol) 2021 서천·고창·신안·보성순천 생태·환경 가치

 

📌 한국의 세계유산, 그 의미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은 단순한 유적지가 아닙니다.그 속에는 인류의 역사, 예술, 그리고 자연과의 공존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 문화유산 15건은 한국인의 역사와 정신,
  • 자연유산 2건은 생태와 환경의 조화,
  • 울산 반구천 암각화는 인류 예술의 시작을 보여주며한국이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문화강국임을 세계에 알렸습니다.

 

 

정리하면

2025년 현재, 한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17건 보유국으로,그중 최신 유산은 **울산 반구천 암각화(2025년 7월 등재)**입니다.

 

`석굴암의 신앙, 수원화성의 과학, 반구천의 예술이 함께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문화 스펙트럼`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모두에서세계가 함께 보존하고 배우는 나라로 자리할 것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