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 전통 달력에는 계절의 변화를 세밀하게 나눈 24절기가 있습니다.
그중 **입춘(立春)**과 **입추(立秋)**는 각각 봄과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농사와 생활의 중요한 기준이 되어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춘·입추의 뜻과 날짜, 그리고 24절기 전체 순서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24절기란?
- 정의: 태양의 움직임(황경)을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한 계절 구분법
- 간격: 약 15일마다 한 절기씩 바뀜
- 역할: 농사 시기, 절기별 풍습, 계절 음식 준비에 활용
📌 포인트: 24절기는 단순한 계절 구분이 아니라, 수백 년 동안 농경문화와 함께 전해져 온 생활 지혜입니다.
2. 입춘·입추의 뜻과 날짜
절기날짜(양력)의미
입춘(立春) | 2월 4일경 |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 한 해 농사의 시작 |
입추(立秋) | 8월 7~8일경 | 가을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 무더위가 남아 있어도 가을 기운이 시작 |
💡 Tip: 절기 날짜는 해마다 하루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24절기 순서와 날짜
아래 표는 봄·여름·가을·겨울로 구분한 24절기 순서입니다.
계절절기날짜(양력)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2/4, 2/19, 3/5, 3/20, 4/4, 4/20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5/5, 5/21, 6/6, 6/21, 7/7, 7/23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8/7, 8/23, 9/8, 9/23, 10/8, 10/23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 11/7, 11/22, 12/7, 12/22, 1/5, 1/20 |
4. 절기별 활용 예시
- 농사: 파종·수확 시기 판단
- 생활: 김장철, 제철 음식 준비, 의복 교체
- 건강: 계절별 질병 예방, 기온 변화 대비
📌 마무리
입춘과 입추는 24절기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절기를 이해하면 날씨 변화에 맞춘 생활이 가능하고, 전통문화도 더 깊이 알 수 있습니다.
올해는 절기 변화를 미리 확인하고, 계절별 계획을 세워보세요.
반응형